全
기사보기 옥천전씨(이곡파) 400년 세거지 ‘노트리(蘆坪-繩坪)’ - 영주시민신문 ‘노트리’ 노평에서 유래, 노들-노드리-노트리시냇가, 물안개, 외나무다리. 승문역의 추억 문수면 노트리 가는 길시내를... www.yjinews.com
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월호리 노트리(繩坪) 세거 옥천전씨 상계도 전서공파(6세: 전광운) - 영주파(10세: 전희철) - 이곡파(13세: 전주)
본문은 휴계(休溪) 전희철(全希哲, 1425 - 1521)의 내외손이나 친인척의 묘갈, 묘표, 묘지나 행장, 유사 등에 기록된 휴계선생의 기록을 발췌하여 모은 것입니다. 작자의 생년 순으로 정리하였습니다. 1. 「從祖叔父訥齋先生遺事」[1], 《倻溪集》 야계(倻溪) 야성(冶城) 송희규(宋希奎, 1494 - 1558)[2] "... 배위(配位)는 의인(宜人) 옥천전씨(沃川全氏)로 관성군(管城君) 유(侑)의 후예이며 생원시와 진사시에 구중(俱中)하고 무과에 급제하여 호군(護軍)을 지낸 희철(希哲)의 따님이다. 부녀(婦女)서의 행적이 몹시 훌륭하여 군자(君子)에 견줄 수 있었다. 선생께서 일찍이 병을 핑계삼아 집안의 일을 돌보지 않은 고로 의인(宜人)께서 안으로는 돕고 밖으로는 단속하여 봉접(奉接)하는 일이 모..
옥천전씨(沃川全氏) 이곡파(伊谷派) 16世 諱 유승(有承) 팔고조도(八高祖圖)전유승(全有承, 1598-1661) 字 자술(子述). 휴계선생(休溪先生) 諱 희철(希哲)의 곤손(昆孫). 前配 안동(安東) 권씨(權氏) 父 통례원(通禮院) 인의(引儀) 권칭(權稱). 사복재(思復齋) 권정(權定)의 후손. 育1남(全命說). 後配 우계(羽溪) 이씨(李氏) 父 이여온(李汝馧). 도촌(桃村) 이수형(李秀亨)의 후손. 育2남(全命尹, 全命奭) 2녀(柳尙復妻, 宋時稷妻). 三配 청주(淸州) 정씨(鄭氏) 父 군수(郡守) 정정(鄭楨). 서원군(西原君) 복재(復齋) 정총(鄭揔)의 후손. 育1남(全命亮). 註1. 각 문중의 족보 및 온라인 자료를 활용하여 기입한 것이므로 잘못된 정보가 있을 수 있습니다. 정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을..
옥천전씨 전서공파 (管城君 諱 侑의 子 吏部典書 諱 光韻 자손들; 이곡파, 모산파, 학촌파, 연기파, 진잠파, 삼정파 진산파, 구천파, 망동파, 거촌파, 이계파, 대구파, 계천위파, 안남파, 산대파 등) 파보 제작을 위한 수단 접수 중
동학사(東鶴寺) 회중(會中)에 답함 회산(晦山) 이근춘(李根春, 1883-1954)[1] 엎드려 생각건대 명분과 절의를 기리고 높이는 것은 진실로 군신(君臣)을 함께 제사지내는 뜻에 부합하는 일이고, 아름다운 풍속을 세우는 일은 가히 사림(士林) 백세(百世)의 의론을 취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. 삼가 생각건대 우리 숙모전(肅慕殿)에 추배(追配)된 신위(神位)에는 단종조(端宗朝)의 충신(忠臣) 아닌 이가 없는데 휴계(休溪) 전선생(全先生)께서 홀로 바친 충의와 그 깊은 절개는 아직 제향(躋享)의 반열에 오르지 못했으니 이 어찌 밝은 시대의 흠결이요, 후세 사람들의 유감이지 않겠습니까. 선생의 휘(諱)는 희철(希哲)이니 옥천인(沃川人)입니다. 성품이 강직(剛直)했고 검약(儉約)한 생활을 지켰습니다. 약관..
홍원현감(洪原縣監) 옥천(沃川) 전주(全宙) 묘갈명(墓碣銘) 유천(柳川) 이만규(李晩煃, 1845-1920) 판관(判官)을 지내고 호(號)가 설봉(雪峰)인 전(全)공의 휘(諱)는 주(宙)이고 자(字)는 태허(太虛)이니, 신라(新羅) 때 정선군(旌善君)에 봉해진 전선(全愃)이 그 윗 조상이다. 고려(高麗) 초 전이갑(全以甲)은 고려 태조(太祖)를 보좌하여 공훈이 있었고 견훤(甄萱)의 난(亂)에 순절하니 시호(諡號)가 충렬(忠烈)이었다. 전유(全侑)는 판도판서(版圖判書)를 지내고 관성군(管城君)에 봉해진즉 자손들이 옥천(沃川)을 본관으로 삼았다. 조선(朝鮮)에 이르러 전귀덕(全貴德)은 통례문(通禮門) 봉례(奉禮)를 역임했고 그 아들 전예(全禮)는 지인(知印) 가각부록사(架閣副錄事)를 지냈다. 전예의 아들 전..